728x90
반응형
1.9 좌표계
기본 좌표계는 각 점의 위치를 결정할 때 x와 y 위치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데카르트 좌표계이다.
1. coord_filp()
coord_flip()은 x와 y축을 바꾼다. 예를 들어 수평 박스플롯이 필요한 경우나 라벨이 길어서 x축과 겹치지 않고 들어 맞게 하기 힘든 경우에 유용하다.
# plot 1
ggplot(data = mpg, mapping = aes(x = class, y = hwy)) +
geom_boxplot()
# plot 2
ggplot(data = mpg, mapping = aes(x = class, y = hwy))+
geom_bar()+
coord_filp()
2. coord_quickmap()
coord_quickmap() 을 하면 지도에 맞게 가로 세로 비율이 설정된다. ggplot2로 공간 데이터를 플롯할 때 매우 중요하다. 먼저 지도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아래 패키지를 install 한 후 로드한다.
install.packages("maps", "mapdata")
library("maps", "mapdata")
nz <- map_data("nz")
# plot 1
ggplot(nz, aes(long, lat, group = group))+
geom_polygon(fill = "White", colour = "black")
# plot 2
ggplot(nz, aes(long, lat, group = group))+
geom_polygon(fill = "White", colour = "black")+
coord_quickmap()
3. coord_polar()
coord_polar 는 극좌표를 사용한다. 극좌표를dac 차트 사이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.
bar <- ggplot(data = diamonds)+
geom_bar(
mapping = aes(x = cut, fill = cut),
show.legend = FALSE,
width = 1) +
theme(aspect.ratio = 1)+
labs(x = NULL, y = NULL)
# plot 1
bar + coord_filp()
# plot 2
bar + coord_polar()
연습문제
1. coord_polar 를 사용하여 누적 막대 그래프를 파이차트로 바꾸어라.
bar <- ggplot(data = diamonds)+
geom_bar(mapping = aes(x = cut, fill = clarity),
show.legend = FALSE,
width = 1)
bar + coord_polar()
2. labs() 는 어떤 동작을 하는가?
- 각각 x축과 y축에 이름을 지정할 수 있다. 만약 NULL인 경우 각 축에 이름이 붙지 않는다.
-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작성하면 다음의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.
# plot 1
...
+ labs(x = "cut", y = NULL)
# plot 2
...
+ labs(x = NULL, y = NULL)
3. coord_quickmap() 과 coord_map() 의 차이점은 무엇인가?
- coord_map() 를 통해 지도의 상세한 모습을 불러 올 수 있다. 다만 coord_quickmap 는 ggplot2패키지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, coord_map() 보다 불러오는 속도가 빠르다.
4. 다음 플롯은 도심 연비와 고속도로 연비 사이의 관계에 대해 무엇을 알려주는가? coord_fixed() 는 왜 중요한가? geom_abline() 은 어떤 동작을 하는가?
ggplot(data = mpg, mapping = aes(x = cty, y = hwy))+
geom_point()+
geom_abline()+
coord_fixed()
- 도심 연비( cty )가 증가함에 따라 고속도로 연비( hwy )가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있다.
- coord_fixed 축에 있는 단위의 물리적 표현 간에 지정된 종횡비를 강제로 적용한다. hwy와 cty 는 동일한 단위(갤런당 마일)로 측정 되기 때문에 이 경우 종횡비를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. 다른 종횡비는 시각적으로 부정확한 표현을 제공하고 하나가 다른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한다고 믿게 만들 수 있다. 기본값인 ratio = 1은 x축의 한 단위가 y축의 한 단위와 길이가 동일하도록 한다.
- geom_abline() 은 플롯에 대각선 기준선을 나타내 두 변수의 관계가 양의 선형이고 기울기가 1에 가깝다는 것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한다.
728x90
반응형
'Study > 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4DS] 1장 데이터 시각화 - 08 그래프 레이어 문법 (0) | 2022.01.10 |
---|---|
[R4DS] 1장 데이터 시각화 - 06 위치조정 (0) | 2022.01.10 |
[R4DS] 1장 데이터 시각화 - 05 통계적 변환 (0) | 2022.01.10 |
[R4DS] 1장 데이터 시각화 - 04 기하객체 (0) | 2022.01.10 |
[R4DS] 1장 데이터 시각화 - 03 facet (0) | 2021.11.27 |